완전 경쟁 시장과 독점 시장: 경제학의 두 극단적 시장 모델 경제학에서는 다양한 시장 구조가 존재하며, 이 중에서 완전 경쟁 시장과 독점 시장은 두 가지 극단적인 형태를 대표합니다. 이 두 모델은 경제 시스템에서의 경쟁과 효율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며, 각각의 특징과 영향을 살펴보면서 이 모델들이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파악해 보겠습니다. 완전 경쟁 시장: 완전 경쟁 시장은 이상적인 시장 모델로서, 경제학적 이론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모델 중 하나입니다. 이 모델에서는 다수의 판매자와 소비자가 시장에 참가하며, 경쟁이 심하고 시장 정보가 완전하게 투명한 상태를 가정합니다. 1. 판매자 수 많음: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다양한 기업들이 동일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합니다. 각 기..
무차별 곡선이란?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은 임의의 두 재화를 변수로 하는 좌표평면상에서 소비자가 효용이 동일하다고(‘무차별한’) 인식하는 두 재화의 조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즉, 경제주체에 동일한 효용을 가져다주는 두 재화의 조합들을 연결한 등위 선을 말한다. 무차별 곡선은 미시경제학에서 경제주체의 선택 또는 선호 분석에 사용되며, 소비자 이론에서는 수요와 공급을 해석하기 위해 무차별 곡선과 예산 선을 같이 이용한다. (특성) 강단조성 공리를 가정하는 경우, 무차별 곡선은 원점에서 멀수록 높은 효용을 나타낸다. * 강단조성(Strong monotonicity) : 제시된 두 조합 사이에서 각 조합에서조합 안의 재화 양이 최소한 하나가 같거나 더 많고 다른 한 가지는 더 많다면..

암호화폐(暗號貨幣, 영어: Cryptocurrency)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와 통화, 화폐란 뜻을 가진 'currency'의 합성어이다.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고,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는 디지털 자산을 말한다. 전자 지급수단과 관련하여 폭넓은 개념으로 디지털화폐(digital money; digital currency)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디지털화폐는 은행권·동전과 같은 물질 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방식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화폐를 가리킨다. 디지털화폐는 금전적 가치를 디지털 정보로 바꾸고 암호화하여 IC 카드에 저장하고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컴퓨터에 보관하고 네트워크상으로 사용하는..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정부로부터 철저한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으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이 승인한 이사 7명으로 이루어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Board, FRB)에 의해 운영된다. 중앙이사회는 워싱턴 D. C에 자리 잡고 있다. 미국 각지에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 12개 지점(보스턴, 뉴욕, 필라델피아,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클리블랜드, 리치먼드, 애틀랜타, 세인트루이스, 미니애폴리스, 캔자스시티, 댈러스)이 있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미국 달러의 발행이며, 그 외에도 지급 준비율 변경, 주식 거래에 대한 신용 규제, 가맹 은행의 정기 예금 금리 규제, 연방 준비은행의 재할인율을 결정한다. 미국 달러가 세계 기축통화로 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

게임(game)이란 효용 극대화를 추구하는 행위자들이 일정한 전략을 가지고 최고의 보상을 얻기 위해 벌이는 행위다. 게임 이론은 사회 과학, 특히 경제학에서 활용되는 응용 수학의 한 분야로써 참가자들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그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매 순간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자신에게 더 이득이 되는지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주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한 개인의 전략적 상황(자신의 의사결정에 의한 성공이 다른 사람의 선택에 의존적인 상황)에서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처음에는 제로섬 게임(zero sum game, 한 개인이 다른 사람의 이익을 빼앗는 상황)에서의 경쟁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지금은 다양한 조건의 광범위한 상호 작용을 다룰 수 있도록 확장되었다. ..
런던 보몬지(Bermondsey)의 빈민가에서 1842년에 출생한 마셜은 런던 교외의 클래펌(Clapham)에서 성장하여 머천트 테일러(Merchant Taylor) 학교에서 교육받았으며, 본인 스스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소질이 있음을 깨닫는다. 그의 아버지는 아들(앨프리드 마셜)이 성직자가 되는 것을 원했으나, 마셜은 수학 연구의 뜻을 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입학해 수학, 물리학을 전공한다. 어느 날, '영국은 세계 최고의 부유국임에도 왜 빈민들이 이토록 많은 것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는데, 일반적인 수학 공식으론 도저히 풀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향후 그는 방학 기간에 빈민가를 방문하면서 본인이 가진 의문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그렇게 그는 경제(經濟) 현상을 증명하는 데 본..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의 파랑 필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가문은 스코틀랜드 침례교 교사 집안이었으며 어머니는 의사 집안의 딸이었다. 내시는 또래 친구들과 놀기보다는 혼자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서 성장했다. 16세에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처음에는 화학을 전공했으나 교원의 권유로 수학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이때 선택과목으로 국제경제학을 수강하여 경제학에 대한 흥미를 보이기도 했다. 이 대학에서 1948년에 석사까지 취득한 내시는 프린스턴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기로 한다. 당시 지도교수이던 리처드 덮임의 추천서에는 "이 사람은 수학의 천재이다."라고만 쓰여 있었다. 내시는 1950년 5월에 프린스턴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했던 "비협력 게임(Non-Cooperative Games)"이..
트리어 출신이며 대학에서 법학과 철학을 전공했다. 1843년 예니 베스트팔렌과 결혼했다. 정치성이 다분한 저술 활동으로 인해 마르크스는 무국적자 신세로 수십 년간 영국 런던에서 처자식과 함께 망명 생활을 했다. 런던에서 마르크스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합작, 대영박물관 열람실에서 연구하며 주요 저작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은 1848년 출간된 소책자 《공산당 선언》과 3권짜리 《자본론》이다. 마르크스를 긍정하는 입장에서나 부정하는 입장에서나 모두 마르크스가 인류 역사상 가장 영향력이 큰 인물 중 하나임을 전제한다. 그의 경제학 저술은 오늘날의 노동 및 노동과 자본의 관계에 대한 이해 대부분의 기초를 놓았다. 셀 수 없이 많은 학자, 노동조합, 예술가, 정당이 마르크스의 영향을 받았고, 마르크스의 사상을 각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하이에크(Friedrich August Von Hayek)는 빈의 어거스트 본 하이에크와 펠릭시타스 하이에크 사이에서 태어났다. 하이에크는 1년 반 터울의 동생인 하이에크, 5년 터울의 동생인 에리 힘을 둔 장남이었다. 출간되지 않은 자서전 기록에서는 하이에크가 그의 어린 동생들과는 잘 어울리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자신이 다른 세대라고 생각했으며, 또래보다는 어른들과 어울리는 것을 더 좋아했다. 그에게 가운데 이름을 물려준 아버지는 식물학에 관한 논문을 여럿 썼을 만큼 식물학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빈 대학의 파트타임 식물학 강사이기도 했다. 프리드리히의 어머니는 1875년에 부유하고, 보수적인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대학 교수로서 아버지의 경력은 나중에 프리드리히..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대중적인 지식인이다. 자유주의 시장경제 옹호자로 거시경제학을 위시하여 미시경제학, 경제사, 경제통계학에 크게 기여하였다. 1976년에 소비분석, 통화의 이론과 역사 그리고 안정화 정책의 복잡성에 관한 논증 등의 업적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일각에서는 밀턴 프리드먼을 유대인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서, 어려운 가정 형편을 딛고 저명한 경제학자로 성장하여 "20세기 아메리칸드림이 무엇인지를 온몸으로 보여준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세계 진보주의자들로부터는 신제국주의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이론을 만든 ‘금융 제국주의 앞잡이’라고 비판받기도 한다. 프리드먼은 케인스와 더불어 20세기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경제학자로 여겨진다. 프리드먼은 폴 사무엘슨과 학문적 라이벌 관계를 ..